Jeon TaeHeon

  • RN에서 사용하는 모듈들 정리하기

    RN에서 사용하는 모듈들을 정리해보자

    2025년 5월 4일

  • Next.js dynamic 코드 살펴보기

    Next.js에서 dynamic 관련한 소스코드를 살펴보자

    2025년 5월 3일

  • 지금까지의 올해 회고

    지금까지의 올해 회고를 해보자.

    2025년 4월 13일

  • Next.js의 head, metadata

    Next.js 내부 코드를 살펴보자

    2025년 4월 5일

  • Go Expo 패키지 살펴보기

    Expo에서 초기 셋팅이 너무 잘되어있다..

    2025년 3월 9일

  • 코틀린에서 var과 val의 차이점

    코틀린에서 var선언과 val선언은 무엇이 다를까

    2025년 2월 23일

  • 간단한 sine 파형 소리 만들어보기

    초간단 sine 파형 소리

    2025년 2월 2일

  • 2024년 회고

    2024년을 되돌아보며

    2024년 12월 31일

  • RN 얕게 시작하기

    리액트 네이티브를 찍먹해보자

    2024년 12월 29일

  •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펀치라인 정리 (진행 중)

    실용주의 프로그래머를 읽으며 내용을 정리해보자

    2024년 12월 1일

  • Nest.js 기본 개념 훑어보기

    Nest.js 의 기본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2024년 11월 28일

  • 토스 NEXT FE 프론트엔드 합격 후기 및 입사를 앞두고 맞이하는 자세

    토스 NEXT 전형 프론트엔드 합격에 대한 회고

    2024년 11월 18일

  • CDN은 얼마나, 어떻게 속도가 빠를까?

    CDN을 왜 써야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2024년 11월 1일

  • toss slash 패키지 살펴보기(2) buildContext

    toss slash 패키지 중 하나인 buildContext 함수를 살펴보자

    2024년 10월 28일

  • toss slash 패키지 살펴보기 usePreservedCallback

    usePreservedCallback을 알아보자

    2024년 9월 23일

  • 에러바운더리 분석 및 status 별 에러 핸들링

    에러바운더리를 분석하고 status 별 분기 처리를 해보자

    2024년 9월 7일

  • 제작한 라이브러리들 pnpm으로 모노레포 구축해보기

    제작한 라이브러리들을 모아서 pnpm을 통해 모노레포를 구축해보자

    2024년 9월 4일

  • Github Actions + changesets를 활용한 npm 배포 자동화

    npm 배포에 대해 CI/CD를 구축해보자

    2024년 8월 26일

  • Next.js 14 App router + Sentry 적용

    Sentry에 대해서 알아보고 적용해보자

    2024년 8월 25일

  • 잘하는 협업

    잘하는 협업에 관하여

    2024년 8월 20일

  • 연속적인 API 호출을 막는 커스텀 mutation 만들기

    소위 말하는 따닥을 막아보자

    2024년 8월 10일

  • Next.js App router + msw 환경 구축

    app router 환경에서 msw 구축해보기

    2024년 8월 7일

  • 커링에 관하여

    커링에 관한 설명을 담은 글

    2024년 7월 25일

  • 리액트 정적 리소스 관리 방법 비교 (public vs assets)

    리액트에서 정적 리소스 관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2024년 7월 13일

  • 무언가를 꾸준히 만들어야 하는 이유

    왜 무언가를 꾸준히 만들어 나가야 하는가?

    2024년 6월 23일

  • 선택적으로 mutate를 발생 시키는 useCachedMutate 만들어보기

    mutate를 발생 시키고 싶은 값을 캐싱해놓을 순 없을까 ?

    2024년 6월 21일

  • 직접 토스트 라이브러리를 배포해보며 비교 해보는 Pub-sub 패턴과 Observer 패턴

    직접 비교해보는 pub-sub vs observer pattern

    2024년 6월 17일

  • Wai-aria 란?

    wai-aria에 대해서

    2024년 6월 2일

  • 블로그 글쓰기 컴포넌트 컴파운드 패턴으로 리팩토링

    글쓰기 페이지를 리팩토링 해보자

    2024년 5월 7일

  • 파생 상태에 관하여

    파생 상태에 관하여 알아보자

    2024년 4월 30일

  • 리액트에서의 Fiber Architecture

    리액트에서의 Fiber Architecture에 대해서

    2024년 4월 29일

  • ref 는 왜 forwardRef 를 통해서 전달해야할까?

    ref는 왜 forwardRef를 통해서만 전달해야하는지에 대해서

    2024년 4월 28일

  • 리액트에서 children 타입 정의하기

    리액트에서 children 타입은 무엇으로 선언해야하는가?

    2024년 4월 16일

  • WaveForm 라이브러리 컴포넌트 만들어보기

    WaveForm 라이브러리 제작기

    2024년 4월 14일

  • 우테코에서 햇빛 보기

    Lv1 글쓰기

    2024년 4월 6일

  • 올바른 테스트 작성을 위한 규칙

    올바른 테스트 작성을 위한 규칙 정리

    2024년 4월 4일

  • 어떻게 자바스크립트는 동작하는가?

    자바스크립트의 이벤트루프, 비동기에 관한 번역글

    2024년 4월 2일

  • createElement 타입 살펴보기

    영화 미션에서 사용한 createElement 함수의 타입 살펴보기

    2024년 4월 1일

  • HTTP 헤더와 바디

    HTTP 헤더와 바디에 대한 설명 및 개발자도구에서의 요청 헤더 살펴보기

    2024년 3월 31일

  • 실행 컨텍스트 정리

    실행 컨텍스트에 대하여

    2024년 3월 31일

  • 이벤트 위임으로 필요한 곳에만 이벤트 적용하기

    이벤트 위임으로 필요한 곳에만 이벤트 적용하기

    2024년 3월 17일

  • [번역] JS에서의 클로저

    클로저의 관한 글 번역 및 외 정리

    2024년 3월 16일

  • Object.assign()을 활용하여 JS 공용 컴포넌트 만들기

    JS에서 공용 컴포넌트를 만드는법에 관하여

    2024년 3월 14일

  • 좋은 질문이란 무엇일까?

    좋은 질문이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2024년 3월 12일

  • type과 interface의 차이점

    type과 interface의 차이점

    2024년 3월 11일

  • Mapped Type과 Partial 유틸리티를 이용한 undefined 값 동적 허용

    undefined 값을 동적으로 허용해주자

    2024년 3월 9일

  • script 태그에서의 async, defer

    script 태그에서의 async, defer 속성에 관하여

    2024년 3월 3일

  • 나는 함께하고 싶은 개발자인가?

    어떠한 회사, 어떠한 동료들을 원하기 이전에 스스로를 먼저 돌아보는 글

    2024년 3월 3일

  • 자바스크립트의 모듈 시스템

    자바스크립트에서의 모듈 시스템에 관하여

    2024년 3월 1일

  • 단계적 자아의 중요성

    우테코에서의 생활이 2주를 갓 넘어가며 적어보는 글

    2024년 2월 29일

  • BFS 알고리즘 정리

    BFS 알고리즘에 대해서 정리해보자.

    2024년 2월 28일

  • Lv1 자동차 경주 수업중 공통 피드백 정리

    Lv1 자동차 경주 피드백을 정리해본다.

    2024년 2월 25일

  • 기본적인 webpack.config.js 살펴보기

    간단한 webpack.config.js 를 키워드별로 정리해보았습니다.

    2024년 2월 24일

  • 객체를 객체답게의 기준

    객체에서의 get함수는 어디 범위까지 사용해볼수 있는것일까 ?

    2024년 2월 23일

  • DFS 알고리즘 정리

    DFS 알고리즘에 대한 정리

    2024년 2월 20일

  • 기본적인 Git 기본 용어 정리

    Git에 대한 기본적인 용어를 정리해보자.

    2024년 2월 19일

  • URI와 웹 브라우저의 요청 흐름

    URI와 웹 브라우저의 요청 흐름에 관하여

    2024년 2월 13일

  • TCP와 UDP 정리

    TCP와 UDP를 정리한 글

    2024년 2월 10일

  • 기본적인 웹 컴포넌트 정리

    기본적인 웹 컴포넌트에 대해서 정리해보자.

    2024년 2월 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