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6일
고립무원 : 남과 사귀지 않거나 남의 도움을 받을 데가 전혀 없음
우테코에 들어오기 전까지의 내가 해오던 개발 공부 방식을 표현한 사자성어다
매번 홀로 스터디 카페에 가서 공부를 해왔다.
이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은 일절 없었다.
소통이라고 해보았자, 2년이 다 되도록 나를 가르쳐주신 선생님께 궁금한 부분을 여쭤보는 정도였다.
그 과정에서 감사하게도 우테코에 합격하게 됐다.
하지만 우테코 내에서의 학습방법과 내가 지금껏 공부해오던 방식 사이에서 큰 괴리감이 느껴졌다.
수업 중 헷갈리는 부분에 대해서 코치에게 여쭤보고, 모르는부분을 다른 크루에게 말해보려하다가도 스스로가 본능적으로 멈칫한다는것을 깨달았다.
이유가 뭘까?
계속 곱씹어보았다가 깨달았다.
개발을 또 나와 동일시 하고 나만의 바운더리를 만들어놨구나.
돌이켜보면 음악할때도 마찬가지였다.
중학생때부터 하고 싶었던 작곡을 성인이 되어서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됐을때, “내가 나로 살아간다.“ 라는 감정을 처음으로 느꼈다.
그만큼 음악을 만드는것 자체가 너무 좋았고 사랑하던 행위였다.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음악과 나를 동일시 하게 됐고, 음악적 역량이 부족하다는 것은 곧 내가 부족한것
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문제가 생기더라도 남에게 물어보기보다 시간이 더 걸릴지언정 내가 직접 찾아서 해결했다.
이는 나에게 더 큰 성취감을 선사해주었지만, 동시에 고립감도 가져다주었다.
또 알고 있는 부분을 나눈다는 것
에 대해 어색함을 느끼게 했다.
사실 개발 또한 너무 재밌어서 시작했지만, 음악과는 다르게 일부러 거리감을 뒀었다.
최대한 빨리 성장하고 싶어서 온 종일 시간을 쏟아붓는것이 아니라, 힘들면 아예 공부를 안하는 날도 많았고 짧은 강의를 한달에 걸쳐서 들었던 적도 있다.
어차피 공부 할게 너무 많다고 생각했고 성급하게 뭔가 이루려고 하기보다 취미로 즐기면서 천천히 스며들었다.
결국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게 됐지만 번아웃 한번 없이 지금까지 올수 있었다.
하지만 우테코에 와서는 이제 정말 몰입해야할때
라고 생각 했었나 보다.
위에 말한 나와 개발을 동일시 하는 마음가짐이 수면 위로 떠오를수밖에 없었다.
사랑하면 다친다
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음악을 하며 결국 나는 큰 상처를 입은거나 다름 없었지만 개발을 하면서는 이런 악순환을 끊고 싶었다.
기본적으로 견지하고 있던 나와 개발을 동일시 하는 마인드 셋부터 고치려 했다.
개발을 잘한다는 것은 뭘까 ?
모든 분야에서나 천재라고 불릴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다.
결국 개발을 잘한다고 말할수 있는 천재적인 사람들은